It's Playful Day!

정수봉(미디어 아티스트, 초청 연구원)

진행과정

본 연구·개발에 있어서 가장 고민을 많이 했던 부분은 “어떤 미디어 기술과 예술을 융합할 것이며, 어떻게 대상(트윈세대)에 맞는 콘텐츠를 만들 것인가?”였다. 여기에 더불어 개인적으로는 대상을 영유아까지 넓혀, 다양한 스펙트럼의 대상이 즐길 수 있는 콘텐츠를 만들고 싶었다. 콘텐츠 제작에 있어 내용과 가시적 효과의 균형은 매우 중요하다. 내용의 핵심을 가시적으로 잘 표현하여 전달할 수 있어야 한다. 아무리 좋은 내용을 담고 있더라도,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복잡하거나 흥미를 유발할 수 없으면 아쉽게도 그 콘텐츠는 사용에서 멀어진다. 반대로, 전달하는 내용 없이 화려하기만 하거나 미디어의 기술과 기능을 보여주는 것 위주로 하는 것 또한 지양해야 한다. 이번 콘텐츠 연구·개발은 청소년을 위한 교육 공간 개발이므로, 그들의 호기심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직관적인 부분이 필요했으며, 체험 후 자신이 무엇 덕분에 즐거웠는지에 대한 명확한 경험과 의미를 남기려고 했다. 이 고려 지점들이 앞으로 설명할 5개의 콘텐츠에서 어떻게 풀어나갔는지 설명하고자 한다.

많은 것이 미디어 테크놀로지로 전달되고 경험되는 요즘, 디스플레이는 내용을 전달하는 창으로서 우리 주변 환경 어디에나 있다. 발달하는 기술 덕분에, 모양과 기능이 다양해지고, 그에 따라 담을 수 있는 콘텐츠도 자유로워졌다. 연구 진행 초기, 세 기관의 다른 연구원들과 디지털 미디어에서의 휴먼스케일(가상과 현실의 연결), 세계와 규칙의 발견, 관찰, 해킹 등 크리티컬 플레이어(주체적 행위자)에 대한 아이디어를 많이 나누었다.

어떤 미디어를 사용할까? 스마트폰, 모니터, 프로젝터, LED 등을 이용해 어떻게 사람들과 상호작용할 수 있을지 고민해보았고, 더 나아가 현실의 사물들과 가상 공간을 연동하여 휴먼스케일의 확장을 시도해보기로 하였다. 요즘 가상현실 체험 전시에서 많이 사용하는 VR HMD(VR Head Mount Display)는 가상 공간을 표현하기에 적합한 디스플레이 장치이지만, 사용에 있어 도움이 꼭 필요하여 아이들에게 적합하지 않아 배제하였다.

그리고, 어떤 내용을 어떻게 담을까? 본 사업의 목적은 크리티컬 플레이어, 즉 주체적인 행위자로 나가기 위한 교육을 연구하고 실행해보는 것이다. 대상과 환경을 관찰하는 것, 세계와 규칙을 파악하는 것, 해체하고 재구성하거나 용도변경 해보는 것(해킹) 등, 동시다발적으로 일어나는 이 행위들을 하나의 콘텐츠가 동시에 담고 있도록 설계하고자 하였다.

<It’s Playful Day!> 구성 및 소개

아이디(ID), 빛(Play Light), 움직임(Play Move), 소리(Play Sound), 시간(Play Time)은 미디어 공간의 주요한 구성 요소들이다. <It’s Playful Day!>에서는 콘텐츠가 설치될 공간에서 위에 언급한 각각의 요소를 체험할 수 있는 3~5개의 섹션을 구상하였고, 전체 섹션을 하나로 묶을 수 있는 스토리텔러(안내자)의 역할로 ‘동글이’ 캐릭터를 설정하였다. 동글이는 본 사업의 캐릭터로 친근하고 귀여운 얼굴을 가졌으며, 도형으로 이루어진 가상의 공간에서 존재하고 있는 하나의 아이덴티티이다. 연구 과정에서 동글이의 역할에 대해 여러 차례 이야기를 나누었고, 미디어 속에 존재하고 있는 나만의 안내자로 이용자가 미디어에 흥미를 느끼고 잘 다룰 수 있도록 알려주는 역할을 부여했다. 동글이는 직접적인 설명을 하기보다는 콘텐츠 안에서 그저 존재하며, 행위자와 함께 공간에서 플레이어로 위치한다. <It’s Playful Day!>가 제공하는 미디어 세상에서는 자신의 동글이가 탄생해야, 공간 안에 입장하고 각 콘텐츠를 플레이할 수 있다.

· Play, Start!

<플레이, 스타트!>에서 참여자들은 자신의 동글이, 즉 공간에 입장하기 위한 아이디를 만든다. RFID(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일명 전자태그) 스티커를 통해 자신만의 아이디를 만들 수 있다. RFID는 주파수를 통한 정보 인식 기술로 참여자는 자신의 물건에 RFID 스티커를 부착하고 리더기에 태깅하는 행동을 통해 아이디 생성의 과정을 거친다. 이때, 맞은편에 있는 웹캠에서 참여자의 얼굴이 사진으로 찍히면서 서버에 함께 저장된다.

아이디를 만드는 것은 미디어 세상 속에서 자신의 아이덴티티를 등록하는 것인데 <It’s Playful Day!>에서는 참여자의 얼굴이 담긴 동글이의 모습으로 나타난다. 이어지는 섹션에서는 모두 RFID 스티커 태그를 사용해야만 플레이가 시작되도록 고안되었다. 이로써 동글이는 참여자와 함께 전시의 과정에 함께하면서 미디어에 흥미를 느끼고 잘 다룰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 Play Light

<플레이 라이트>는 빛의 삼원색인 R(빨강), G(초록), B(파랑)를 이해하기 위한 콘텐츠이다. 각 색에 해당하는 커다란 버튼을 눌러 미디어 세계의 동글이가 장애물을 피해 목적지까지 도달할 수 있도록 하는 아케이드 게임 형태의 작품이다. 게임 진행은 아주 단순하다. 형형색색의 도형들이 동글이의 앞을 가로막으면, 플레이어는 도형의 색상과 같은 컬러 버튼을 눌러서 길을 터주면 된다. 플레이 시간 동안 같은 색깔의 빛을 비추어 장애물을 없애 동글이가 앞으로 계속 나아갈 수 있게 만들어 주어야 한다.

게임이 어느 정도 진행되면 난이도가 조금 올라가는데, 두 가지 이상의 색을 조합해야만 사라지는 도형들이 나타난다. 빨간색과 초록색 버튼을 동시에 누르면 노란색(Yellow), 초록색과 파란색 버튼을 동시에 누르면 옥색(Cyan), 파란색과 빨간색 버튼을 동시에 누르면 자홍색(Magenta)의 빛이 적용된다. 장애물을 없애면서 빛의 삼원색을 재미있게 이해하도록 고안된 것이다. 장애물 달리기를 응용하였다.

· Play Move

<플레이 무브>는 시소 모양에 구조물에 프로젝션 맵핑과 디지털 사진기를 활용한 혼합현실(MR; Mixed Reality) 콘텐츠이다. 디스플레이 안을 떠다니는 작은 공들은 디스플레이를 움직이는 방향으로 굴러가는데, 이때 현실세계와 가상세계가 움직임이라는 공통의 요소로 밀접한 관련을 맺는다. 이처럼 가상과 현실세계가 미디어 안팎으로 반응을 주고받는 행위에서 우리는 미디어를 주체적으로 수용하게 된다.

아울러 디스플레이 너머에 있는 ‘어떤 세계’, 즉 우리가 현실 공간에서는 보지 못한 미디어 속 가상세계를 보여주기 위해 ‘카메라’를 만들었다. 동글이 모형에는 디스플레이 너머의 가상세계를 보여주는 나무 카메라가 놓여있다. 시소의 건너편을 향해 상자를 들고 사진을 찍어보자. 동글이의 입에서 나오는 사진은 우리가 시선을 둔 카메라를 통해 우리가 보지 못한 가상세계를 보여준다. 사진 속에는 해변 너머로 넓게 드리운 바다와 그 안에서 자유롭게 물놀이를 즐기고 있는 동글이가 우리를 맞이한다.

· Play Sound

<플레이 사운드>는 볼륨과 피치(Pitch)를 조절하면서 다양한 소리를 만들어 내는 게임이다. RFID 스티커를 태깅하면 동글이는 형형색색의 오브젝트가 있는 공간으로 날아가게 되는데, 오브젝트와 부딪힐 때마다 소리가 만들어진다. 이때 볼륨은 배경 음악의 볼륨 조절과 동시에 동글이가 발사되는 각도를 조절하며, 피치는 배경 음악의 속도, 그리고 동글이가 날아가는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체험자는 콘솔을 조절하고 태깅을 하면서 다양한 소리를 만들어 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평상시 미디어를 통해 음악을 듣기만 하는 것보다 자신이 미디어를 통해 창작한 음악을 경험할 수 있다. 멀리 뛰기, 포환 던지기를 응용하였고 거리는 pixel로 표현했다.

· Play Time

<플레이 타임>은 시계를 돌려 시간을 표현해보는 콘텐츠이며 방명록의 역할도 같이 한다. 참여자들이 시계가 달린 삼각기둥에 위치한 태그마크에 RFID를 태깅하게 되면, 입구에서 등록했을 때 찍은 사진과 다양한 형태의 모자를 쓴 동글이가 나타난다. 태그의 수가 많아질수록 여러 사람들과 함께한 동글이들이 화면 안에 쌓이게 된다. 이때 동글이는 등장할 때마다 다른 모자를 쓰고 있는데, 이 모자는 어른이 되어 경험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역할(직업, 상태, 행동 등)을 의미한다. 시간이 흘러 아이들이 어른이 되어도 동글이와 함께 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려 하였다. 삼각기둥 위편의 시계를 돌려 동글이 세계의 시간을 조절해보면서, 당연하다고 느끼는 것에 능동적인 변화를 시도해 보았다. 시곗바늘을 앞으로, 뒤로 돌림에 따라 가상세계 속의 하늘이 밝아지고 어두워진다. 시계탑의 시곗바늘을 직접 움직이면, 동글이가 살고 있는 미디어 너머의 세계의 시간을 움직여 볼 수 있다.